작성자Namsik
작성일 2019-03-22
조회수1143
스마트폰으로 실시간 TV 보는 방법
“TV가 없어도 스마트폰으로도 실시간 TV를 볼 수 있습니다!”
과거에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DMB 기능을 이용해 실시간 TV를 시청하였지만, 채널 개수 부족/해외 단말기 미지원/수신 범위 제한 등의 불편함으로 인해 데이터 기반으로 서비스되는 OTT(Over-The-Top) 서비스를 이용해 실시간 TV를 시청하는 소비자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. 그렇다면, 다양한 OTT(Over-The-Top) 서비스 중 실시간 TV 서비스가 제공되는 옥수수, 올레tv 모바일, U+모바일tv, pooq, tving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?
옥수수, 올레tv 모바일, U+모바일tv
• 옥수수 - PC웹 (http://www.oksusu.com) - 안드로이드용 (https://play.google.com/store/apps/details?id=com.skb.btvmobile&hl=ko) - 아이폰&아이패드용 (https://itunes.apple.com/kr/app/oksusu/id596661240?mt=8)
• 올레tv모바일 - Windows PC용 (https://www.microsoft.com/ko-kr/p/올레-tv-모바일/9wzdncrdj2kx) - 안드로이드용 (https://play.google.com/store/apps/details?id=com.kt.otv&hl=ko) - 아이폰&아이패드용 (https://itunes.apple.com/kr/app//id438653868?mt=8) • U+모바일tv - 안드로이드용 (https://play.google.com/store/apps/details?id=com.uplus.onphone&hl=ko) - 아이폰&아이패드용 (https://itunes.apple.com/us/app//id663697257?mt=8) |
이동통신 3사(SKT, KT, LG U+)가 서비스하는 옥수수(SKT), 올레tv 모바일(KT), U+모바일tv(LG U+)은 해당 서비스를 기본 제공하는 요금제 이용 시 무료로 제공되나, 해당 서비스를 기본 제공하지 않는 요금제 또는 타 이동통신사를 이용하는 고객에게는 제한적 무료(모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약 5~6천원대 월정액 가입 필요)로 제공되고 있습니다. 현재 약 100여 개의 채널을 FHD 수준의 화질로 제공하고 있고, 일정 기간이 지난 VOD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은 인상적이지만, 지상파 3사(KBS, MBC, SBS)의 실시간 방송과 VOD 콘텐츠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은 매우 아쉽습니다.
pooq(푹)
- PC웹 (https://www.pooq.co.kr) - 안드로이드용 (https://play.google.com/store/apps/details?id=kr.co.captv.pooqV2&hl=ko) - 아이폰&아이패드용 (https://itunes.apple.com/kr/app/pooq-푹/id987782077?mt=8) |
콘텐츠연합플랫폼에서 서비스하는 pooq(푹)은 약 15초 정도의 광고만 시청하면 SD 화질의 실시간 방송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, 유료 이용권을 구매하면 광고없이 HD/FHD 화질의 실시간 방송과 VOD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현재 pooq 자체 채널을 포함해 약 70여 개의 채널을 제공하고 있고, 현존하는 OTT(Over-The-Top) 서비스 중 유일하게 지상파 3사(KBS, MBC, SBS)의 실시간 방송과 VOD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지만, 다소 비싸게 느껴지는 이용요금은 아쉽습니다.
tving(티빙)
CJ E&M에서 서비스하는 tving(티빙)은 약 30초 정도의 광고만 시청하면 HD 화질의 실시간 방송을 무료(영화채널은 제외)로 이용할 수 있으며, 유료 이용권을 구매해 고화질 실시간 방송과 VOD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현재 OTT(Over-The-Top) 서비스 중 가장 많은 약 230여 개의 채널(자체 채널 포함)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은 인상적이지만, 지상파 3사(KBS, MBC, SBS)의 실시간 방송과 VOD 콘텐츠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은 아쉽습니다.
OTT 서비스 비교표
구분 |
이용요금 |
채널개수 |
콘텐츠수 |
비고 |
옥수수 |
SKT 특정 요금제 무료 이외 3,300 원 |
약 100여개 |
약 13만 편 |
• IPTV 연동 지원 • 광고없이 이용가능 • 다양한 무료 콘텐츠 |
올레tv모바일 |
KT 특정 요금제 무료 이외 5,500 원 |
약 19만 편 |
||
U+모바일tv |
LG U+ 특정 요금제 무료 이외 5,500 원 |
약 15만 편 |
||
pooq(푹) |
통신사 무관 무료 고화질 + VOD 6,900 원부터 |
약 70여개 (자체채널포함) |
약 20만 편 |
• 지상파 3사 시청가능 • 자체 채널 만족도 높음 |
tving(티빙) |
통신사 무관 무료 고화질 + VOD 5,900 원부터 |
약 230여개 (자체채널포함) |
약 20만 편 |
• CJ E&M 서비스 특화 • 자체 채널 만족도 높음 |
상기 첨부한 표는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자가 소개한 OTT 서비스를 요약 정리한 것이며,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서비스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실시간 방송만 놓고 보면 옥수수(SKT), 올레tv모바일(KT), U+모바일tv(LG U+)의 차이는 크게 느껴지지 않았지만, pooq(푹)과 tving(티빙)은 자체 채널을 통한 차별화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.
지상파 DMB보다 훨씬 많은 실시간 채널과 콘텐츠를 제공하는 OTT(Over-The-Top) 서비스는 잘 이용하면 TV를 대신할 수 있을 만큼 만족스러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, DMB와 달리 통신망을 이용해 서비스되기 때문에 와이파이 또는 무제한 요금제를 이용해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 (참고로, 요금제에 따라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OTT(Over-The-Top) 서비스 전용 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)